사례로줄여서말하니자명해보이지만, 무에서시작해진화시킨프로세스라나름강건하고효율적이며고객도만족스러운프로세스였습니다. 문제는고객이몰려들고갑자기성장하면서정보가늘어지며불거지기시작하는문제입니다. 기존 프로세스 중 몇군데가 매끄럽지 않은데 현업에서는 그걸 조망하기 어려우니 불편과 비효율을 각자의 선의로 해결 중이었던거죠. 누구는야근을하고누구는고객전화통잡고목이갈라지게사과하거나양해를구하고.
어찌고쳐야할까요.
이경우문제를개선해야하는갈래는크게네가지가떠오릅니다.
1. Natural inclination to put off for satefy margin
인간과조직의당연한현상입니다. 어느정도확정적인정보가있어야공급을맞추는건당연합니다. 그래서 기다리죠. 결국이당연을당연으로받아들이면항상조금씩늦추게됩니다. 이게쌓이면조직의느림, 프로세스의비효율이되죠. '기초정보가입력된이후에무조건 5일안에는공급한다. 모자라는정보, 주문, 물량은이래저래채우고아니면공실을감수한다.' 정도의최대여유제한 (maximum period constraint)의규칙을생각해볼필요가있습니다.
2. Value captured or not
이케이스에서도드라지는문제지만, 주문이후공급시점결정후다시주문확정인경우가종종있습니다. 따라서공급시점이라는기업내부의정보가고객의주문확정에되먹임하는구조입니다. 제가매우민감해진이유이기도한데요. 결국우리의공급시점정보를못줘서고객이기다리다드랍하고나가면가치가손상됩니다. 즉, 기업의가치로인입하기직전이지만, 아직 capture하지못한가치를방치하는결과가됩니다. 이걸기업내부로들여온후, 내부프로세스로소화하는건가치재배치의이슈라종류가다릅니다. 이런건부서입장들어서해결하기보다는회사차원에서 옳은그림을 먼저 그리고, 역할을 각 조직이소화해내는구조와프로세스를설계하는게중요하죠.